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년 6월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의 모든것

생활정보이슈

by 만물보따리장수 2023. 3. 10. 06:00

본문

 

출처-네이버이미지-

청년 도약계좌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오는 6월에 출시된다. 이 상품은 매달 70만원 한도로 5년간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최대 월 2만4000원)과 비과세혜택(15.4%)을 받을 수 있으며, 만 19~34세 사이, 연 소득 7500만원 이하의 청년층이 가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5년간 최대 5000만원 내외의 목돈을 만들 수 있어서 300만 명의 청년들이 혜택을 가질 수 있다.

 

신청할수 있는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 19 ~ 34세 이면서 개인소득과 가구 소득이 모두 일정 기준 이하인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상품이다.

개인소득은 총급여 기준으로 7500만원 이하이며, 가구소득은 중위 180% 이하를 충족해야하며, 2인가구라면 월 소득이 586만 8000원 이하인 경우 대상이 된다.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네는 가입이 불가하다. 국세청에 신고된 공식소득이 있어야 가입이 가능하며, 아르바이트생이라도 신고소득이 있으면 가입이 가능하다.

 

만기시 얼마나 받을까?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은 소득 수준과 개인 납입 금액에 따라 차등이 적용된다.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총급여 48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지원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선정하여, 본인 납입액이 월 70만원 납인한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정부 지원금을 모두 수령하도록 하였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이후 2년간 변동금리로 예상하고 있는데 추후 공식발표가 있으면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상을 해보면 금리는 고정금리 3년 +변동금리 2년이 적용된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발표내용을 보면 월 70만원씩 5년을 적금했을때 비과세 혜택, 이자, 정부지원금을 합해서 5000만원 내외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게 핵심입니다.

대략적인 이자를 계산해봤을 때 이자가 6%일 때 약 4800만원, 7%일 때는 약 4900만원, 8%일 때는 5054만원이 나오는데요. 그래서 대략 짐작을 해보면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6~8%로 정도가 되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출처-네이버이미지-

청년도약계좌는 중도해지가 가능하다.

중도해지 사유는 가입자가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의 이유로 중도 해지를 하면 본인 납입금과 정부 지원금이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되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본인 납입금만 지급되며,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없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6월부터 취급기관 앱을 통해 가입 신청을 받으며, 비대면 심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유지심사는 1년 주기로 진행되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을 병행하여 심사한다고 한다.

개인 및 가구소득은 직전 과세기간(2022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년도(2021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년도(2021년)과세기간 소득 기준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정부 청년정책인 청년도약계좌가 작으면 작을수도 있지만 현재의 적금보다는  좋은 조건인거 확실하기에 6월에 가입을 원하신다면 꼭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